Python

(파이썬) print() 함수: 다양한 출력 서식

코딩ABC 2023. 9. 19. 10:42
반응형

파이썬 print() 함수의 다양한 출력에 대해 설명합니다.

 

1. 기본 문자열 출력하기

파이썬에서 문자열은 작은 따옴표(') 또는 큰 따옴표(")로 묶습니다.

print('안녕')
print("안녕")

(Output)

안녕
안녕

 

2. 여러 행의 문자열은 큰따옴표 3개(또는 작은 따옴표 3개)로 묶을 수 있습니다.

a="""안녕하세요
이순신입니다.
네,안녕하세요.
저는 홍길동입니다."""
print(a)

(Output)

안녕하세요
이순신입니다.
네,안녕하세요.
저는 홍길동입니다.

 

3. 정수를 10진수, 8진수, 16진수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.

a=100
print(a)
print("%d" % a)
print("%o" % a)
print("%x" % a)

(Output)

100
100
144
64

 

4. 문자와 문자열은 %c, %s로 서식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.

a='대'
b='한민국'
print("%c" % a)
print("%s" % b)
print("%c%s" % (a, b))

(Output)


한민국
대한민국

 

5. 정수와 실수를 다양한 형식으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.

a=123
b=34.567
print(a)
print("%d" % a)
print("%5d" % a)   #5자리에 출력, 남는 앞 부분에 공백 2개
print("%05d" % a)  #5자리에 출력, 남는 앞 부분에 '0'으로 채움

print(b)
print("%f" % b)
print("%6.3f" % b)  # 전체자리수 6, 소수 3자리
print("%.2f" % b)   # 소수 2자리, 반올림 됨
print("%10.3f" % b)

(Output)

123
123
   123
00123
34.567
34.567000
34.567
34.57
       34.567

 

 

 

반응형

 

 

6. 출력할 각 항목을 컴마로 구분하여 출력하면 공백으로 구분됩니다.

a=10
b=20
print(a, b)
print(a, "+", b, "=", a+b)

(Output)

10 20
10 + 20 = 30

 

7. print() 함수를 기본으로 줄바꿈을 합니다. 줄바꿈을 하지 않기 위해서는 end=''를 추가합니다.

print('대', end='')
print('한', end='')
print('민국')

(Output)

대한민국

 

8. 다음과 같이 format으로 서식을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.

a=100
print("%d %x %o" % (a,a,a))
print("{0:d}, {1:x}, {2:o}".format(a,a,a))

(Output)

100 64 144
100, 64, 144

 

9. 2진수, 8진수, 16진수로 표현된 문자열을 쉽게 10진수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.

a='111'

b=int(a)
c=int(a, 2)
d=int(a, 8)
e=int(a, 16)
print(a,b,c,d,e)

(Output)

111  111  7  73  273

 

10. bin,oct, hex 함수를 이용해서 10진수로 된 문자열을 2진수, 8진수, 16진수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.

a=100
print(a)
print(bin(a))
print(oct(a))
print(hex(a))

(Output)

100
0b1100100
0o144
0x64

 

 

 

print() 함수는 위에서 설명한 기능 이외에도 더 다양한 기능이나 서식이 있습니다.

 

 

반응형